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2 [KT-AIVLE 17주차 AI Track] 미니 프로젝트 7차(Web) 블로그 카테고리 용도 : 매주 에이블 스쿨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 ✨17주차 후기 빅 프로젝트를 대비할 수 있는 좋은 웹 프로젝트 경험이였음. 프론트엔드 위주의 프로젝트 사용자 입장을 고려해서 홈페이지를 어느 팀이 얼마나 더 잘 꾸미느냐의 대결 웹 프로젝트는 처음이였는데 웹 디자인 꾸미는게 흥미로웠음. 로그인기능까지 구현을 원했지만 시간 관계상 실패. 미니프로젝트 7차 📌 수어 번역 챗봇 서비스 웹페이지 개발 전체 적인 서비스 Flow 1. 사용자는 번역하고자 하는 수어 사진을 웹페이에 올린다. 2. CNN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수어알파벳으로 분류한다. 3. Chat gpt를 통해 문장의 의미를 번역(API사용) 메인페이지 화면 1. 메인 페이지를 최대한 깔끔하고 필요한 기능만 보이게 제작했는데 이.. 2023. 5. 30. [KT-AIVLE 11주차 AI Track] 미니프로젝트 5차 블로그 카테고리 용도 🔎 매주 KT 에이블 스쿨에서 배운 내용을 복기하기 위해 ✨ 11주차 소감 피쳐가 많다면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미니프로젝트 5차 📌 스마트폰 센서 데이터 기반 모션 분류 받은 데이터 : X축,Y축,Z축 신호에 대한 가속도,각속도등 250가지 이상의 feature를 가진 데이터 (매우 좋은 데이터로 전처리 방법, 모델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99%가 나옴) ⚠️ 문제 정의 : 모델예측하는데 쓰이는 feature가 너무 많음. 과도한 시간과 노력을 들일 만큼 모든 feature가 모델 예측에 유의미한 데이터로 적용되는가? 그렇지 않다면 feature를 줄여서 비용을 아껴보자 🔎 사용 방법 : 1, 변수 중요도 기반으로 상위 n개의 데이터를 추출(Permutation Importan.. 2023. 4. 24. [KT-AIVLE 10주차 AI Track] 미니프로젝트 4차 (NLP) 블로그 카테고리 용도 🔎 매주 KT 에이블 스쿨에서 배운 내용을 복기하기 위해 ✨ 10주차 소감 모델자체의 성능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eda와 전처리로 돌아가자 우수팀들의 발표를 들으며 pre-trained된 모델이 확실히 성능이 좋구나.. 라는 걸 느꼈습니다. Kaggle 📌 문의 내용 유형 분류하기(다중 분류 모델링) 받은 데이터 : 에이블 스쿨 문의 내용 분류 데이터 작업 환경 : Colab 🔎 전처리 1. 범주형 라벨 숫자로 처리 2. konlpy Mecab을 활용하여 형태소 단위로 토큰화(속도,정확도 측면에서 제일 좋았음) (토큰화를 하는 이유 -> 많은 모델에서 학습할 때 토큰화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때문에) 3. 특수문자 제거(정규 표현식 이용) https://docs.python.or.. 2023. 4. 24. [OS] Memory Management 🔎 운영체제가 메모리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1. 운영체제의(OS)의 역할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HW : (OS의 아랫단 => cpu/memory/io장치) SW : (OS의 윗단) 2. 메모리(Memory)란?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정보를 보관하는 기억장치를 말합니다. 메모리는 CPU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할 때 직접 엑세스 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기타 정보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입니다. 메모리에는 주소가 매겨지고 프로세스는 주소를 통해 메모리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메모리 주소(Memory address) 1) 논리적인 주소(Logical address) 프로그램마다 가지고 있는 메.. 2023. 4. 20. [알고리즘] 개미 전사 (DP-이코테) 문제 유형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 설명(요약) : 최소한 한 칸 이상 떨어진 인덱스의 요소들을 합하여 나가는 과정 후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 접근 : {3, 5, 4, 5, 6, 8, 4} 예제 케이스 만들기 현재 인덱스의 요소는 -2칸 or -3칸 떨어진 인덱스의 요소로부터 올 수 밖에 없음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선 -2칸 or -3칸 떨어진 인덱스와 현재 값과의 합중 최댓값으로 갱신되어야 함 점화식 추론 : A[i] = max(A([i-2] + A[i]),(A[i-3] + A[i])) 결론 : dp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와 그 전 인덱스 중 최댓값을 구하면 원하는 답을 구할 수 있음 코드 구현 : n = int(input()) dp = list(map(int,input().split())) dp[2.. 2023. 4. 18. [OS] Deadlock .🔎 주요 질문 1. Deadlock(교착 상태)가 뭔가요? 발생 조건에 대해 말해보세요 2. 회피 기법인 banker's algorithm이 뭔지 설명해보세요 3. 교착상을 설명하는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Deadlock이 무엇인가요?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자원을 얻지 못해서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 무한히 다음 자원을 기다리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하지 못함) P1과 P2가 자원 2,1을 모두 얻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t1 : P1이 자원2를 얻음 / P2가 자원1을 얻음 t2 : P1은 자원1을 기다림 / P2는 자원2를 기다림 현재 서로 원하는 자원이 상대방에게 할당되어 있어서 두 프로세스는 무한 Wait상태에 빠짐 -> Dead.. 2023. 4. 15.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