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S19

[NetWork] 클래스 풀 배경 : 네트워크를 구별하기 위해 나옴 Classful IP Addressing IP주소는 인터넷 주소로 네트워크주소, 호스트주소 즉,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들을 모은 네트워크 지칭(호스트의 집합) 호스트 주소 : 호스트들를 개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주소 네트워크 호스트(network host)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타 장치 IPv4를 기준으로 설명 그래서 ClassFul한 방법은 뭐냐.. 정의 네트워크 주소를 매기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의 크기를 다르게 구분하여 클래스를 할당하는 주소체계입니다. 여기서 구분하는 기준자(첫,2,3옷텟)을 서브넷마스크라고 함 이해해보기.. Class A (0.0.0.0 ~ 127.0.0.0) - 한 네트워크당 16,777,214 호스.. 2023. 6. 16.
[Network] 이진수 이해하기 IP주소체계 #1: 이진수 이해하기 123은 어떻게 이루어진 수인가?(10진법) => 1 * 10^2 + 2 * 10^1 + 3 * 10^0 그렇다면 이진수는? 0과 1, 두개의 숫자로 표현하는 "이진법"으로 표현하는 수가 바로 이진 수 일반적으로 이진법의 수를 십진법의 수와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 - 100101b (b를 덧붙임(b는 binary의 약자))(binary = 이진) - 100101(2) ((2)를 덧붙임, 주로 수학에서 쓰임) - 0b100101 (앞에 0b를 덧붙임) 이진수 알아보기 오른쪽 끝에서부터 각각의 자리는 1부터 2가 곱해지며 1,2,4,8,16,32 ... 이런식으로 2배씩 증가하게 되며 수를 표현함 각각의 자리는 "비트"라고 할 수 있으며 0인지 1인지를 통.. 2023. 6. 13.
[NetWork] IP주소체계 IP주소, MAC주소, ARP, RARP IP주소, MAC주소, ARP, RARP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논리적 주소(변한다)이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며 IP를 기반으로 통신한다고도 하지만 사실상 그 밑에 물리적 주소인 MAC주소를 통해 통신합니다. ex) 택배 배송 주소, 스타벅스wifi ip주소, 다른 카페wifi ip주소 MAC주소란(Media Accesss Control Address) ? 각각의 장치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며 보통 장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할당됩니다. 4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24비트의 OUI와 24비트의 UAA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OUI : IEEE(네.. 2023. 6. 13.
[OS] Memory Management 🔎 운영체제가 메모리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1. 운영체제의(OS)의 역할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HW : (OS의 아랫단 => cpu/memory/io장치) SW : (OS의 윗단) 2. 메모리(Memory)란?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정보를 보관하는 기억장치를 말합니다. 메모리는 CPU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할 때 직접 엑세스 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기타 정보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입니다. 메모리에는 주소가 매겨지고 프로세스는 주소를 통해 메모리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메모리 주소(Memory address) 1) 논리적인 주소(Logical address) 프로그램마다 가지고 있는 메.. 2023. 4. 20.
[OS] Deadlock .🔎 주요 질문 1. Deadlock(교착 상태)가 뭔가요? 발생 조건에 대해 말해보세요 2. 회피 기법인 banker's algorithm이 뭔지 설명해보세요 3. 교착상을 설명하는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Deadlock이 무엇인가요?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자원을 얻지 못해서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 무한히 다음 자원을 기다리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하지 못함) P1과 P2가 자원 2,1을 모두 얻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t1 : P1이 자원2를 얻음 / P2가 자원1을 얻음 t2 : P1은 자원1을 기다림 / P2는 자원2를 기다림 현재 서로 원하는 자원이 상대방에게 할당되어 있어서 두 프로세스는 무한 Wait상태에 빠짐 -> Dead.. 2023. 4. 15.
[OS] CPU Scheduling 블로그 카테고리 목적 : 🔎 CPU Scheduling의 방법,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복습 : 프로그램 실행시 Cpu burst 와 I/O burst가 번갈아 가면서 실행이 됩니다. 이때, I/O 작업이 별로 없는 경우에는 CPU에서 Instruction을 실행하는 단계인 Cpu burst가 길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I/O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CPU를 연속적으로 쓰는 단계가 짧아지게 되고, I/O burst가 길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Interrupt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CPU Scheduling은 이런 CPU busrt 시간과 I/O burst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CPU Schduler] 현재 ready queue에 들어가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어떤 .. 2023.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