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래스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래스리스가 나왔습니다.
클래스로 나누는 것이 아닌 조금 더 세분화하게 서브넷마스크를 중심으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고 어디까지가 호스트주소인지를 나누는 방법이 클래스리스 입니다.
- 서브네팅 : 네트워크를 나눈다는 의미(회사마다 네트워크를 나누는 상황)
- 서브넷 : 서브네트워크, 쪼개진 네트워크
- 서브넷마스크 : 서브넷를 위한 비트마스크
참고로 현재 저희의 주소체계는 클래스리스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서브넷마스크
네트워크주소부분을 모두 1, 호스트주소부분은 0으로 설정해서 나눕니다.
컴퓨터는 NetID와 Host ID로 나눈 것을 어떻게 이해하지??
서브넷 마스크에 익숙해지기
서브넷 마스크 확인
ipconfig
- IPv4 주소 : 124.34.13.91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128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 기본 게이트웨이 : 124.34.13.254
Q. 10개의 사무실이 있으며 사무실당 12개의 장치를 연결해야 한다면?
사무실 하나 당 ㅁ * 12
128(10000000 => 2^7)
192(11000000 => 2^6)
....... 224(11110000 => 2^4) 호스트 ID 쓸 수있다.
답 : 255.255.255.224
---->세분화된 단위, 효율적으로 배정 가능
공인IP와 사설IP와 NAT
IP주소의 부족을 공인IP와 사설IP로 나누고 중간에 NAT라는 기술을 통해 해결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패킷이 트래픽 라우팅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패킷의 IP주소를 변경,
IP주소를 다른 IP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입니다.
보안적인 측면 :
NAT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IP가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공유기와 NAT
실생활에서 인터넷 회선 하나를 개통하고 보통 공유기를 써서 wifi를 만들곤 하는데 이 때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게 됩니다.
이상으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CS > N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클래스 풀 (0) | 2023.06.16 |
---|---|
[Network] 이진수 이해하기 (0) | 2023.06.13 |
[NetWork] IP주소체계 IP주소, MAC주소, ARP, RARP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