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P주소체계 #1: 이진수 이해하기
123은 어떻게 이루어진 수인가?(10진법)
=> 1 * 10^2 + 2 * 10^1 + 3 * 10^0
그렇다면 이진수는?
0과 1, 두개의 숫자로 표현하는 "이진법"으로 표현하는 수가 바로 이진 수
일반적으로 이진법의 수를 십진법의 수와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
- 100101b (b를 덧붙임(b는 binary의 약자))(binary = 이진)
- 100101(2) ((2)를 덧붙임, 주로 수학에서 쓰임)
- 0b100101 (앞에 0b를 덧붙임)
이진수 알아보기
오른쪽 끝에서부터 각각의 자리는 1부터 2가 곱해지며 1,2,4,8,16,32 ... 이런식으로 2배씩 증가하게 되며 수를 표현함
각각의 자리는 "비트"라고 할 수 있으며 0인지 1인지를 통해 해당 수 1또는 2, 4등을 더하지 않거나 더하는 걸 기반으로 수를 표현함
ex) 181 - 10110101
(각 비트가 나타내는 수는 오른쪽 끝 부터 2의 1승 2의 0승 ...)
반응형
'CS > N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클래스리스와 서브넷마스크, 서브네팅, 공인 IP, 사설IP,NAT (0) | 2023.06.17 |
---|---|
[NetWork] 클래스 풀 (0) | 2023.06.16 |
[NetWork] IP주소체계 IP주소, MAC주소, ARP, RARP (0) | 2023.06.13 |